PER - 주가수익비율
https://namu.wiki/w/%EC%A3%BC%EA%B0%80%EC%88%98%EC%9D%B5%EB%B9%84%EC%9C%A8
주가와 주당순이익을 비교하는 시장가치비율. 국내에서는 보통 PER로 표시하지만, 서구권에서는 P/E로 주로 표시한다. 영문명은 Price-to-Earnings Ratio 또는 Price Earning Ratio.
PER은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것으로, 주가가 주당 순이익의 배율이 얼마인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그렇기에 PER가 낮을 경우 해당 회사가 거둔 이익에 비해 주가가 낮고 그에 따라 기업의 가치에 비해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반대로 PER가 높으면 거둔 이익에 비해 주가가 고평가되었음을 의미한다.
PER은 주가/주당순이익이지만 더 간단하게 시가총액/당기순이익으로 나눠서 구할 수 있다. 실무적으로는 시가총액/당기순이익을 많이 활용한다. 이 경우 보통주, 우선주 등 종류주식에 대한 부분을 무시할 수 있기 때문(분자의 보통주 우선주 시가총액 합치면 됨)이다.
특히 미국처럼 우선주가 없고 대신 A주, B주같은 차등의결권 주식이 많은 나라에서는 주식 수가 들어가는 주가/주당순이익 지표로 계산할 경우 문제가 심각해진다. A주에 들어가는 순이익과 B주에 들어가는 순이익 비율을 결정하는 것은 회사 측의 자의적인 결정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차등의결권 주식을 가진 회사는 PER을 전체 시가총액/당기순이익으로 구한다.
저 PER주를 매수하는 것이 좋다고 주식관련서적에 나타나 있는 경우가 흔한데(주식관련서적들이 큰 의미가 있나 싶지만....), 이 방법은 주식시장 지수에는 적용할 수 있지만 개별 기업에 적용하기에는 매우 위험한 방법이다. 개별기업은 극단적으로 높거나 낮은 PER을 갖는 경우가 많은데 그 PER이 시장평균수준으로 되돌아간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이다. PER에서의 E는 어디까지나 과거의 이익이고 P는 현재의 주식 가격이다. 개별주식이 PER이 낮다면 저평가되어 있을 가능성은 사실 낮고, 회사에 뭔가 문제가 있거나 전망이 안 좋아서 주가가 내려간 것일 가능성이 훨씬 높다. 이후 수익이 확 낮아지면 낮았던 PER도 다시 높아지니까.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Forward PER이란 것도 있는데, 애널리스트들의 다음 분기 예상 수익을 이용해 PER을 계산한 것이다. 애널리스트들의 예상치는 개미들이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잘 맞아 떨어진다. 다만 틀릴 땐 크게 틀리는 게 문제.
PER의 역수는 일반적으로 국채의 금리보다 높다. 그 차이를 Yield gap이라고 부르며 글로벌 자산운용사들은 이 일드갭을 참고해서 주식과 채권에 투자하고 있다.
PER이 증가했던 시기는 주당순이익이 증가하던 시기와 통계적으로 거의 일치한다. 그러므로 PER이 낮다고 주당순이익이 감소하는 기업을 사는 것은 확률적으로 굉장히 위험한 투자 결정이다.
1980년대 일본 거품경제 붕괴직전 일본주식시장의 PER은 무려 67에 육박했다. 1929년 대공황 직전, 1990년대말 닷 컴 버블, 2000년대 후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직전, 2015-2016년 중국 증시 폭락 직전 시기의 주식시장 PER은 엄청나게 높았다. 주식시장이 높은 PER 상태일 때 채권수익률은 높기 때문에 기관투자자들이 채권을 매입하기 위해 주식을 팔면서 (위험)자산시장 가격붕괴가 시작된다.
순이익은 급변하는 경우가 많아서 PER의 신뢰도가 낮아질 수 있기 때문에 순이익 10년평균을 사용한 CAPE(Cyclically adjusted price-to-earnings)를 사용하기도 한다. 단 급성장하는 신흥국가는 CAPE가 아주 높게 나타나는 단점이 있다.
부동산투자회사 (REITs) 및 인프라투자회사 (InvITs)에는 P/E 대신에 P/FFO 및 P/AFFO가 쓰인다.
- 워렌 버핏에 의하면 고 PER주는 시장참여자의 높은 기대감이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어닝쇼크(매출급감)가 발생하면 급락이 뒤따른다고 한다. 닷컴 버블 시기의 여러 기업들이 이에 해당한다.
- 벤저민 그레이엄은 기업의 적정 PER을 구하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라고 말했다. 빠르게 성장하는 기업은 PER이 40 이상에 거래되다가 갑자기 투자자들이 변심하면 PER가 10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가 허다했기 때문이다.
- 존 네프는 PER가 가장 중요한 투자지표라고 조언했다.
- 데이비드 드레먼에 의하면 저 PER 주는 어닝서프라이즈(매출급증)가 발생할 때 높은 상승률을 보이며, 어닝쇼크가 발생하면 그다지 하락하지 않는다고 한다. 장기적으로 저 PER 기업들의 주가상승률이 고 PER 기업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제레미 시겔 교수에 따르면 저 PER 종목군은 고PER 종목군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록해왔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최고의 수익률을 기록해온 기업들(소비재와 제약업)은 시장 PER보다 높은 PER를 가지고 있었다.